%%%%%%%%%%%%%%%%%%%%%%%%%%%%%%%%
[요약]
안녕하세요 주식을 연구하는 카이스트생 카이스탁입니다. 📈
오늘도 한번 달려 볼까요?ㅎㅎ 시작 전에 오늘 영상 내용이랑 다음 영상 내용을 공개할까 말까 고민을 좀 많이 했습니다.
이유는 두 가지인데, 첫째는 세력이 볼까 봐, 둘째는 많은 사람들이 동일하게 이 방법을 사용할까 봐 걱정이 되서입니다.
그래도 영상을 올린 이유는 유튜브 활동을 1~2달 쉬었기 때문에 조회수가 많이 안 나올 거라서 찐 구독자님들만 볼 확률이 높기 때문입니다. 😊
지난 영상에서 윙입푸드를 다음과 같이 정리했습니다:
- 익절가: 3200원 이상
- 손절가: 2000원 이하
손절가를 2000원으로 정한 이유는 지지선과 저항선을 분석했기 때문입니다. 중요한 지지선과 저항선을 그림으로 설명드렸습니다. 📉
추세선에 대해서도 설명드렸습니다:
- 정의: 현재 주가의 추세를 나타내는 선
- 그리는 방법: 저점과 저점을, 고점과 고점을 이음
오늘 영상은 여기까지입니다. 도움 되셨다면 구독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공개매매종목 매매 실시간 업로드
+네이버 블로그 : https://blog.naver.com/kai_stock
****요약글 업로드
+티스토리 : https://kaistock.tistory.com/
주식투자, 윙입푸드, 주가대응, 카이스탁, 주식매매, 투자전략, 익절가, 손절가, 주식초보, 주식고수, 주식강의, 주식분석, 추세선, 지지선, 저항선, 세력분석, 차트분석, 매매기법, 투자방법, 스윙투자, 장기투자
%%%%%%%%%%%%%%%%%%%%%%%%%%%%%%%%%
안녕하세요 주식을 연구하는 카이스트생 카이스탁입니다.
오늘도 한번 달려 볼까요???ㅎㅎ
시작전에 오늘영상 내용이랑 다음영상 내용을 공개 할까 말까 고민을 쫌 많이 했습니다.
그리고 말씀드릴수 있는 부분은 오늘 들어오신분들은 행운일겁니다.
이유가 2가지가 있는데
첫번째 이유는 세력이 볼까봐이고
두번째 이유는 공개하면 앞으로 많은 사람들이 동일하게 이 방법을 사용할꺼라 세력이 장난질을 칠까봐 걱정이 되서 입니다.
근데 왜 올렸냐?
일단 제가 유투브를 1~2달 쉬고 다시 올려서 아마 유투브 알고리즘 동작상 조회수가 많이 안나올겁니다.
그말은 제 채널을 기다렸고 찐 구독자 님들만 볼 확률이 높다는 말이죠
그래서 찐구독자님들한 오랜만에 좋은거 드릴려고 하는겁니다.
자 이제 스피드 있게 진행하시죠
아 구독자 분들은 제가 말씀드린 부분 집에서 꼭 다른 종목으로 연습을 많이 해보시길 바랍니다.
지난 영상에서 윙입푸드를 다음과 같이 정리했습니다.
1. 익절가 : 3200원 이상
2. 손절가 : 2000원 이하
자 그럼 손절가를 왜 2000원을 정했냐를 알려드릴게요
그리고 이거 알려드리면 연습하시다보면 왜 익절가는 3200원 이상을 잡았는지도 보일겁니다.
방법은 간단합니다.
그림 그리기 입니다.
요렇게ㅎㅎㅎ
일단 지지선 저항선은 제가 아주 오래전에 알려드렸습니다.
어떤 용도고 어떻게 긋는지도 말씀드렸습니다.
처음 보시는 분들은 이전 영상 찾아서 보시면 될것같습니다.
링크를 걸어두겠습니다.
가로선들이 중요 지지선/저항선을 그어놓은거고
보다 강력해 보이는 선들은 검은색으로 표시 해둔겁니다.
보시면 여기선 보이시죠? 이게 보시면 여기 장대양봉의 시가입니다.
그리고 이전으로 돌아가면 전의 고점의 몸통종가입니다.
보시면 여기죠?
이렇게 2000이라는 선 자체가 다른 선 대비 엄청 중요합니다.
지지선/저항선 중요한것들이 있는데 짧게 언급드리면
큰 상승의 고점, 거래량이 터진 장대 양봉의 시가와 종가
이 정도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래서 기준이 2000원이 된겁니다.
여기까지 한번 정리할게요
지지선/저항선 분석시 중요한 선이 2000원이다.
요정도 되겠네요
자 그다음 이제 보실게
가로선은 지지선/저항선이 있죠?
그리고 대각선 선들이 보일겁니다.
이걸 추세선이라고 부르면 될것 같습니다.
그럼 추세선 정의와 그리는 방법에 대해서 아셔야 겠죠?
정의 : 현재 주가의 추세를 나타내는 선
쉽죠?
자 이제 그리는 방법에 대해서 말씀드릴게요
추세선은 주식의 스윙이 왔다갔다 할때 저점과 저점을 이으면 되고
고점과 고점을 이으면 됩니다.
쉽죠?
예를 들면 이 선 처럼 여기 저점과 여기 저점을 이으면 되는거죠
자 그럼 이제 고민이 될겁니다.
몸통기준을 그어야 할까?
꼬리 기준으로 그어야 할까?
이런게 긋다 보면 고민이 되실겁니다.
자 어떻게 그어야 할까요?
네 이건 숙제입니다. 구독자 분들은 집에서 그어보세요
어떤게 더 정답인지
그리고 일단 그어보고 한번 생각을 해봅시다.
오늘 영상은 요정도 하고
다음 영상에서 제가 그어놓은거 기준으로 어떻게 그었는지
그리고 어떻게 해석을 해야 하는지 이걸 말씀드릴게요
제가 그은선중에서 일반적이지 않은것들도 있을겁니다.
제꺼 캡쳐 해놓고 한번 왜저렇게 그었을까 생각을 해보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처음 제영상을 접하신분들은 일단 긋기전에
깔끔하게
구독한번 눌려주시고요 ㅋㅋㅋㅋㅋ
네 오늘도 시청하느라 고생하셨습니다.
오늘은 여기까지 컷 하고
도움되셨다면 구독 좋아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