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주식] , CPI, PPI 해석방법 및 현재상황(feat. 채권, 환율, 달러지수, CPI, PPI)[카이스탁]

%%%%%%%%%%%%%%%%%%%%%%%%%%%%%%%%
#유가 #달러지수 #채권 #환율 #경제위기 #CPI #PPI

오늘은 , CPI, PPI 해석방법이랑 현재상황 해석해드릴게요

투자자별 매매비중

+유투브 구독하기 : https://bit.ly/2suiwJh
+네이버 블로그 : https://blog.naver.com/kai_stock
네이버 블로그에 10년치 종목별투자자 자료 있습니다.
+티스토리 : https://kaistock.tistory.com/
티스토리에 관련 내용 올라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주식을 연구하는 카이스트생 카이스탁 입니다.

오늘은 CPI, PPI에 대해서 한번 설명드릴게요
지금 현재 요 4개가 뭔지랑 해석하는 방법 알려드렸고
오늘은 여기 CPI랑 PPI에 대해서 설명 해드릴게요

보시면은 일단 CPI부터
CPI가 뭐죠? 이런 영어는 어떤걸 줄여놨는지 잘 기억하셔야 합니다.
보시면 Consumer Price Index) 입니다.
우리나라 말로는 소비자물가 지수입니다.
Consumer만 기억하시면 됩니다.
정의를 먼저 보면
소비자 관점에서의 상품 및 서비스 가격 입니다.
다시 말해서 소비자가 상품이나 서비스를 사거나 사용할때
그때 가격을 말하는겁니다.
여러분들이 보는 가격이죠
그리고 미국에서는 매달 이 지수에 대한 발표를 하고 있고
어떤 상품과 서비스인지는 아래에 있습니다.
식음료, 주고, 옷, 교통, 의료, 여가, 교육 및 커뮤니티, 기타 등등
간단히말하면 여러분들이 사고 사용할때 그 가격을 말하는겁니다.

자 다음은 PPI를 봅시다.
Producer Price Index
생산자물가지수 입니다. 이건 뭘까요?
네 제조업자가 판매하는 상품 가격인겁니다.
다시말해서 뭔가를 만들어서 판매할때 가격인겁니다.
음 그럼 뭔가 이상하죠?
판매할때 가격이나 우리가 사는 가격이나 똑같은거 아니야?
생각이 들겁니다.
다시 한번 생각해보세요

뭔가 제품을 만들때 한번에 뚝딱 나오나요?
생산 과정이 존재하고 그 생산된 제품들이 우리 눈앞에까지 오는 과정도 존재합니다.
이거는 딱 제품이 생산후의 가격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여기까지 이해가시죠?
근데 제품 생산 과정을 다시 쪼개면
나무책상 하나를 만들어서 판매 한다고 생각하면
첫번째 나무를 잘라야겠죠?
두번째 깔끔하게 나무를 판자로 만들어야겠죠?
세번째 판자들을 원하는 형태로 가공 해야겠죠?
네번째 얘들을 못으로 연결해야겠죠?
다섯번째 깔끔하게 코팅같은걸 해야겠죠?
그럼 이제 나무책상이 완성됩니다.

이렇게 나무책상 만드는데 사이사이에도 제품과 서비스의 판매 있는겁니다.
그래서 보시면 에너지나 원유, 그리고 중간재 그리고 완제품 가격
이런식으로 이런가격들에 대한 지수라고 생각을 하시면 됩니다.
여기까지 이해가 가시죠?

자 그럼 이제 옆에 그래프 해석을 가봅시다.
우선 CPI가 뭐라고 했쬬?
네 소비자 물가지수
그리고 PPI는 뭐라고 했죠?
네 생산자물가지수

생산자가 먼저 생산을 한 후에 소비자가 구매가 가능하겠쬬?
당연하죠 이거는?
그래서 생산자물가지수인 PPI가 다음달 CPI를 만든다고 보실수 있는겁니다.
생산을 하고 한달뒤에 물건이 팔리닌깐요

차트를 보시면 위에꺼가 CPI 아래꺼가 PPI

8월달 PPI가 현재 이 그래프 젤 끝에 있는겁니다.
전월대비 어떤가요? 
많이 줄었죠?

그럼 위에 CPI를 가봅시다.
8월게 요정도 나왔습니다.
자 다음달 9월은 어떻게 나올까요?

쉽죠?
네 8월 PPI가 줄었으니 9월 CPI도 줄어서 나오겠네
요렇게 예측이 가능한겁니다.
근데 100%맞는건 아니고 90% 맞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그래프를 비교해보시면 더욱더 잘 이해가 갈겁니다.
PPI가 선행을 하고 있다는거를

그래서 요즘 인플레가 꺾였네 하는게
이 CPI, PPI를 보고 얘기를 하는거고
이번달 PPI를 보닌깐 다음달 CPI도 전월대비 낮게 나오겠네
인플레가 꺾인게 어느정도 맞네 라는걸 알수 있습니다.

여기서 좀더 더해서
물가가 꺾였네 => 소비가 줄었네 => 경기침체가 올꺼 같네 => 금리 인상 낮게 하겠네 => 주식올라가겠네
이런 생각의 알고리즘이 돌아가고 있는겁니다 요즘
방금 알고리즘은 긍정의 알고리즘이고
반대 알고리즘을 말씀드리면
물가가 꺾였네 => 소비가 줄었네 => 경기침체가 올꺼 같네 => 주식떨어지겠네

요렇게 됩니다.
현재 요런 생각들이 팽팽하게 대립하고 있으니 여러분들도 알고 있으면 되고
오늘은 여기까지 하고
다음 영상부터는 요 6가지를 가지고
현재 큰돈들이 어떻게 움직이는지 한번 예상해보고
추적을 해볼생각입니다.
정말 큰돈의 움직임을 추적을 할수 있는지 확인을 같이 해봅시다

그전에 미국장단기금리차 남았네요
요건 장단기금리자 역전이 생기고 2년내에 폭락장이 온다고 한때 많이 떠들었는데
다음 영상에서 일단 요고부터 봐야겠네요
그다음 영상부터 6가지로 해석을 해볼게요

네 오늘은 여기까지 컷 하고
도움되셨다면 구독 좋아요 감사합니다.



오늘은 여기까지 컷하고
도움되셨다면 구독 좋아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