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주식] 세력입장에서 적정 주가 파악 (Feat.푸드나무) [카이스탁]

안녕하세요 주식을 연구하는 카이스트생 카이스탁입니다.

 

#푸드나무 #적정주가 #이글루시큐리티

오늘은 저번에 이어서 적정주가 파악하는 방법 설명드릴게요

투자자별 매매비중

 

+네이버 블로그 : www.blog.naver.com/kai_stock

네이버 블로그에 10년 치 종목별 투자자 자료 있습니다.

+티스토리 : www.kaistock.tistory.com/

티스토리에 관련 내용 올라가 있습니다.

+유튜브 구독하기 : https://bit.ly/2suiwJh

 

카이스탁

시간없는 직장인을 위한 떠먹여 주는 주식 채널입니다!!! 좋은 영상!!! 도움되는 영상!!! 꾸준히 올려서 같이 수익창출합시다!! 구독좋아요는 진짜 감사합니다!!

www.youtube.com

안녕하세요 주식을 연구하는 카이스트생 카이스탁 입니다.

오늘은 지난편에 이어서 적정주가 파악 하는 저만의 방법에 대해서 말씀드렸습니다.
최소한 제 구독자분들은 꼭 끝까지 보세요
적정주가를 빠르고, 쉽고, 정확하게 파악하는 방법이닌깐요

많은 사람들이 쓰는 PER, PBR, ROE에 분야 멀티플을 계산해서 하는
그런 방법을 저는 쓰지 않습니다.
우선적으로 그러한 방법을 쓰지 않는 이유에 대해서 말씀드릴게요
일단 PER, PBR, ROE 이런 제무지표를 쓸수 있는건
코스피 우량주입니다.
진짜 기업의 제무 기반으로만 평가를 받는 분야입니다.
그리고 이걸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드리면
거대한 금액이 왔다갔다하는 그런 종목입니다.
이 거대한 금액들은 실제 기업이 돈을 벌고 있거나
앞으로 돈을 벌 수 있는지가 거대한 돈들이 투입할 수 있는
유일한 기준이기 때문입니다.

근데 저는 어떤 종목들을 하죠?
네 코스닥 중소형주를 합니다.
이 코스닥 종목들에서 PER, PBR ,ROE 이런 제무수치를 적용하는 건
아마도 해보신분들은 맞을때도 있고, 안맞을때도 있을겁니다.
여기까지 정리를 하면
1. 제무수치로 하는 정적주가평가는 큰돈이 움직이는 시장에서 적합

이거입니다.

그리고 두번째 제무지표를 이용하지 않는 이유는
멀티플을 얼마를 적용할지가 섹터, 그리고 그 섹터 내부에서도
다 다릅니다.
아 멀티플이라고 하면 해당 섹터의 잠재성을 수치화 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예를 들면 일반적인 종목들에 비해 제약이 이 멀티플이 굉장히 높습니다.
그 이유는 임상이 통과했을때 그 포텐셜이 어마어마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섹터 별로 다르고, 그 섹터 내부에서도 다 다릅니다.
다시 말하면, 일일이 다 찾아서 하기에는 솔직히 개인투자자들에겐 쉽지 않습니다.
그리고 그 멀티플은 컨센서스 증권사의 컨센서스
이 컨센서스라 하면 각 증권사에서 주장하는 수치인데
멀티플 역시 증권사마다 주는 수치가 다릅니다.
누구는 이 멀티플을 알아내서 평균내서 계산하거나 
귀찮으면 네이버증권에 나와있는걸로 계산할겁니다.

이렇게
또한번 누군가의 의해서 가공된 정보로 또 가공해서 사용하게 되는겁니다.
또 여기서 한번 정리를 하면

1. 제무수치로 하는 정적주가평가는 큰돈이 움직이는 시장에서 적합
2. 멀티플이 가공된 정보임

이렇게 됩니다.
따라서, 누가 어떻게 계산하냐에 따라서 다 다릅니다.
하지만 여기서 생각 하셔야 합니다.
이렇게 누가 어떻게 계산하냐에 따라서 다다르기 때문에
누군가는 수익을 내고, 누군가는 돈을 잃는 구조입니다.
이러니 증권사가 바보겠습니까?
자기 유리한대로 멀티플 수치를 제공하겠죠?
안봐도 비디오입니다.
그래서 저는 멀티플 기반으로 계산하는 방법이 코스닥에서는
제일 최악이라고 생각합니다.
이건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이제부터 제가 어떤식으로 계산하는지 설명드릴게요
이 복잡한 과정들을 한방에 파악할수 있는 방법을요!!

일단 지난 영상요약해드리면
제무제표에서 가장 중요한게 매출액이다.
이거였습니다.
이것만 들으면 매출액이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모르닌깐
오늘 처음 들어오시는분들은
아니 최소한 기존 구독자분들은 지난영상을 꼭!꼭! 최대한 이해를 하시고오시길 바랍니다.
위에 카드 달아 놓겠습니다.

저는 제무제표에서 가장 중요한 이 매출액을 기반입니다.

자 이제 푸드나무를 예를 들어서 설명드릴게요
사실 제가 이 영상을 준비하면서
생각보다 누적된 경험치들이 작용해서
적정주가를 평가를 하게된걸 알게됬고
이건 한번 날잡아서 시리즈로 영상 준비해서 
무엇무엇을 고려했는지 알려드릴게요

오늘은 일단 매출액으로 어떻게 적정주가를 평가하는지 맛만 보세요
물론, 어느정도 경험 및 고민 하신분들은 금방 아실겁니다.
그리고 아직 주린이분들도 들어두세요

자 일단 제무차트로 가봅시다.
매출액이 무엇을 나타낸다고 했죠?
정확히는 매출액의 증감이 무엇을 나타낸다고 했죠?

1. 해당 기업이 하고 있는 해당 분야 자체가 커지고 있냐?
2. 해당 분야에서 해당기업이 차지하는 포션이 늘어나고 있냐?
이거입니다.

이 부분 우선 기억해두세요
자 그리고 이제 "주가"에 대한 근본입니다.
주가가 뭔가요?
여러분 주가가 뭔가? 라는 질문을 해보셨나요?
이 주가가 뭘 나타낼까요?
네 수많은 시장 참여자들이 합의를 본 가격인겁니다.
구체적으로
주가란?
수많은 시장 참여자들이 각자의 근거를 가지고 합의를 본 가격입니다.
그쵸?

자 이거면 사실 끝나겁니다.
ROE, PBR 이런 재무 수치가 필요가 없습니다.

정리를 해보면

매출액이 나타내는것
1. 해당 기업이 하고 있는 해당 분야 자체가 커지고 있냐?
2. 해당 분야에서 해당기업이 차지하는 포션이 늘어나고 있냐?
주가란?
수많은 시장 참여자들이 각자의 근거를 가지고 합의를 본 가격

이거입니다.
이 매출액과 주가가 무엇을 뜻하는지 이해만 하셨다면
앞으로의 주가는 충분히 예측이 가능합니다.

자 이제 제가 판단하는 근거를 알려드릴게요
1. 매출액의 변화
2. 그 매출액에 따른 주가 변화
이거입니다.

다시말해서 매출액과 주가의 변화를 보고
다음 매출액을 예상을 하고
그 매출액에 맞는 주가를 평가하고 예상하는겁니다.

여기까지 별로 어렵지 않죠?
매출액과 주가의 본질적인 의미만 파악하면 되는겁니다.

자 이제 푸드나무로 봅시다.
지금 매출액이 연간 기준으로 어떻게 변화하고 있죠?
네 우상승 하고 있습니다.
자 이제 그럼 2019년도 매출액은 얼마인가요
네 648억입니다
그해 평균 주가는 얼마인가요?
얼쭈 21000원대입니다 그쵸?
그럼
2019년 - 648억 - 21000원 입니다.
이제 다음 년도는요?
2020년 - 1172억 - 24000원 입니다.
그리고 그다음은
2021년 - 1912억 -33000원 입니다.

전체 정리하면
2019년 - 648억 - 21000원 
2020년 - 1172억 - 24000원 
2021년 - 1912억 -33000원 
이렇게 됩니다 그쵸?

이 수치들은 무엇을 뜻할까요?
해석을 해야 합니다.

이제 피피티로 볼게요
일단 이거는 기억하셔야 합니다.
아까 말씀드렸던거
매출액이랑 주가
매출액은 기업은 해당분야에서 미래를 예측할수 있는 자료고
주가는 수많은 사람들이 어떤 근거로든 합의를 본 가격이란거

이제 이 수치에서 알수 있는게 뭐가 있을까요?
1. 해당 종목의 매출액이 증가하고 있다.
2. 매출액이 상승함에 따라서 주가가 상승하고 있다.

자 이제 여기서 제 경험이 들어갑니다.
보통
매출액이 2배가 상승하면 주가는 1.5배~2배 상승 합니다.
사실 요건 당연한겁니다.
매출액이 2배가 되면 일반적으로 영업이익이나, 당기순이익 역시 2배가 보통 오르기 때문입니다.

근데 지금 2019년도에서 2020년도 넘어갈때
매출액이 2배가까이 늘었는데 주가가 주가는  1.14배 늘었습니다.
정상적이라면
21000*1.8 = 37800원 되야 하는겁니다.
근데 20년도에 주가는 24000원 입니다.
이미 아주 저평가 되어져 있습니다.
그럼 여기서 의문이 생길겁니다.
왜케 주가가 낮게 형성 되어있지?
주가는 수많은 사람들이 수많은 근거로 합의를 본거라고 하지 않았나?
하실 겁니다.
당연한 질문이고 해야하는 질문입니다.
여기서 이제 세력이라는 자들과 이 기업의 모멘텀에 대해서 알고 있어야 하는겁니다.
일단 세력이라는 사람들은 무슨 짓을 하는 사람들이죠?
네 낮은 가격에서 매집 후 높은가격에서 매도 해서
수익을 챙기는 사람입니다.
그쵸?
이 세력들을 고려해보면
왜 저평가가 되어 있는지 50%를 이해를 하셨을겁니다.
세력이 개입되어져 있기 때문에 매출액에 비해서 낮은 가격이 형성되어져 있는겁니다.
여기까지 이해하셨죠?
자 그다음 기업의 모멘텀
이 기업의 모멘텀을 알려면 일단 해당 섹터부터 알아야겠죠?
푸드나무는 헬스관련 식료품 => 닭가슴살을 파는 회사입니다.
그리고 모멘텀은 헬스 관련 식품 수요증가 입니다.
2020년도에 이러한 분야들이 시장에서 관심을 받았나요?
네 안중에도 없었죠?
다들 성장주에만 관심 있었죠?
네 그럼 푸드나무 모멘텀은 시장에서 관심이 없는
무관심 모멘텀이었던겁니다.

그럼 이제 왜 가격이 매출액의 변화에 비해서 낮게 형성이 되었는지 이해가 가실겁니다.
정리를 하면

매출액 변화에 비해서 낮게 형성된이유
1. 세력들 개입
2. 무관심 모멘텀

이거입니다.

자 그럼 이제 21년도를 해석 해봅시다.
19년도에서 21년도 변화를 봅시다.
매출액 648억 => 1912억 3배 올라갔습니다.
주가는 21000원 => 33000원 1.57배 올랐습니다.
정상적이라면 6만원위에서 위치 해야합니다 그쵸?

자 이제 세력들 개입 + 모멘텀을 고려 해봅시다.
일단 세력들 개입은 차트를 보시죠
21년도를 보면 이부분에서 개입이 많아졌습니다. 그쵸?
그럼 어떤 개입이 있었을까요?
저번 영상에서 말씀드렸죠?
여기 앞에 있는 앞전 물량을 흡수했다고
자 그다음 모멘텀은?
네 점점 인플레 관련주로 점점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그러니 세력이 움직인거고
차트에서 변화가 많이 생긴겁니다.

여기까지 이해가 가시죠?

그럼 원래 적정 주가는 6만원 위에 있어야 하는데
세력의 개입에 의해서 조정을 받아서 3만원대 있는겁니다.
사실 여기서 좀더 해석해야 할게 있는데
재무차트에서 당기순이익이랑 영업이익이 많이 빠졌는데
이 원인이 매출원가의 상승이었고
이 부분역시 반영이 되어서
한 4만원대에서 잡혀서 반등이나 횡보해야 했는데
3만원대까지 뺀겁니다.
사실 세력이 이걸 이용해서
개미들 나가라고 더 내린거라고 저는 해석을 하고 있습니다.

여튼
세력의 개입과 모멘텀에 의해서
주가가 매출액의 변화에 비해서 저평가 되어 있습니다.
후 여기까지 이해가 가시나요...ㅠㅠ
좀 여러가지가 섞여 있는데 일단 느낌이라도 잡아가시길 바랍니다.
빠른 시일내에 차근차근 영상 다시 준비해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이어갈게요

자 그럼 이제 제일 중요한
2022년도 적정주가는 얼마일까?
이거겠죠?

자 재무차트로 돌아가서
매출액의 변화를 보세요
이번년도는 매출액이 어떻게 될까요?
이것 역시 지난 영상에서 얼쭈 말씀드렸는데
이번년도 역시 매출액은 상승할겁니다.
그 이유는 모멘텀이랑 지금까지 매출액의 변화를 해석해보면 됩니다.
이건 지난영상에 말씀드렸습니다.
그럼 매출액이 상승한다고 가정을 하면
적정 주가는?
최소 7만원 이상입니다.
이제 여기서
세력의 개입과 모멘텀을 추가해서 고려를 해봅시다.
세력의 개입은 어떻게 될까요?
최근 상승 후 하락을 아마 매집은 거의 끝났을겁니다.
모멘텀은?
네 인플레이션 관련주로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그리고 앞으로도 인플레이션은 계속 유지될꺼고
곧 가격인상도 할겁니다.

이제 모든걸 고려를 해보면
네 원래 적정주가인 7만원대 위로 갈 가능성이 높다가
최종적인 저의 결론입니다.
여기까지 이해가 가실지 모르겠네요
너무 긴 설명 들으신다고 고생하셨습니다.

이제 총정리를 해보면
적정주가 평가 방법
1. 매출액 변화로 예상 적정주가 평가
2. 세력 개입 및 모멘텀 고려

이렇게 됩니다.
그리고 이방법으로 적정주가를 고려했을때
푸드나무는 2022년도 7만원대로 올라갈 가능성이 아주높다
이렇게 결론이 납니다.

지금 주가가 27800원인데 무슨 7만원이 가냐
뜬구름잡고 있네 라고 생각하실 분들도 있을겁니다.
이건뭐 이번년도 주가 움직임을 보시면 답나오겠죠?
제가 틀렸거나, 맞거나
여튼 그래서 저는 푸드나무를 아직 들고 있는 중입니다.
물론 이상황에서 갑자기 러시아 전쟁 처럼
악재가 나오면 푸드나무 역시 비켜가질 못합니다.
하지만 기간만 늘어날뿐
적정주가로 가게 되어 있습니다.

네 드디어 오늘 제가 드릴 말씀은 다 드렸네요 ㅋㅋㅋㅋㅋ
고생하셨습니다.

제가 한번 날잡고 
주린이들도 쉽게 이해할수도록
시리즈로 예를 들어가면서 영상 한번 준비하겠습니다.

네 오늘은 요정도까지만 하고
일단 공개매매 하고 있는종목들 싸이클 한번 돌리고
아 최근에 이글루시큐리티도 꿈뜰하던데
여튼 일단 공개매매 하고 있는 종목들 싸이클 한번 돌리고
그때 차근차근 적정주가평가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드릴게요

네 오늘은 요정도 하고
다음영상에서는 꿈틀거리는 이글루시큐리티 설명드릴게요
네 오늘은 여기까지 컷 하고
도움되셨다면 구독 좋아요 감사합니다.